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START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9월 1일 월요일,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밤사이 내륙엔 요란한 비가 내렸는데 강릉은 사상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같은 동해안 도시인 속초에선 얼마 전에 워터밤 축제까지 열렸는데요. <br /> <br />조선일보가 '지하댐이 두 도시의 운명을 갈랐다'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명 대통령 방문 이후 강릉엔 재난 사태까지 선포됐죠. <br /> <br />국가소방동원령까지 발령돼서 전국에서 51대의 소방차가 출동했는데 재난 사태와 국가소방동원령이 가뭄으로 내려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속초는 2018년에 극심한 가뭄을 겪은 뒤 지하댐을 짓기 시작해서 2021년에 완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속초 시민들이 석 달 동안 사용할 수 있는63만t을 저장할 수 있는 물그릇입니다. <br /> <br />낡은 상수관을 교체해서 새는 물까지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강릉도 지하댐 건설을 추진하곤 있는데 빨라야 2027년 완공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가뭄 대책 회의에서 김홍규 강릉 시장이 "9월에는 비가 올 거라 굳게 믿는다"고 했다가 대통령이 질책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변화 때문에 언제 어디에서또 최악의 가뭄이 발생할지 모르죠. <br /> <br />전문가들도 속초의 지하댐처럼 지역별로 다양한 '물그릇'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기사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사직 전공의 상당수가 오늘부터 복귀합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수도권의 '빅5' 병원은 복귀율이 70~80%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방 대학 입장에선 다른 세상 이야기라는 내용을 다뤘습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는 고사하고 진료 보조 간호사도 구하기 어려운 게 지방 대학병원의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필수의료과일수록 복귀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데요. <br /> <br />지방 주요 대학병원들 상황을 보면복귀하는 응급의학과 레지던트는 절반에못 미칩니다. <br /> <br />제주대병원 응급의학과는 지원자가 아예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저연차 레지던트 중엔 수도권 병원으로 옮기려고 하거나 군입대를 선택한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니 지방 대학병원들은 당장 당직업무부터 차질을 빚을 거로 보이는다시 요. <br /> <br />1년 7개월간 전공의 빈자리를 메워 온 전문의와 PA 간호사의 피로도는 이미 극에 달한 상황이죠. <br /> <br />먼저 복귀한 전공의들과의 갈등 문제도 남아 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90107025235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